글쓴이의 자폐증과 자폐 스펙트럼 장애 당사자 여부에 대한 증명
자폐증 여부의 증명
글쓴이는 자폐증이 있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당사자이며 진단을 받기 전엔 자폐증이란 개념 자체를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그런 사실을 입증하는 증거들을 아래에서 제시합니다.
그림1 병적증명서: 글쓴이는 '2급' 현역으로 판정받아 2013년에 육군에서 155MM자주포병으로 복무하는 도중 복무가 완전히 불가능하다고 판정받아 2014년에 '5급' 전시근로역(제2국민역)으로 판정이 변경되었다. (사회적으로 '면제'로 인정받는 판정) 당시에 글쓴이는 자폐증에 대한 개념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음
그림2 2021년 11월 한양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성인 ADHD 종합평가' 심리학적 평가 보고서」: 글쓴이는 2021년 11월까지 자폐란 개념을 전혀 몰랐고, 대신 자신을 ADHD라 생각해서 한양대학교에서 '성인 ADHD 종합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검사결과에 따르면 글쓴이는 ADHD가 아니었고, 대신 "R/O Autism Spectrum Disorder"라고 판정받았다.(R/O는 해당 진단명으로 판정받았다는 의미가 아니라, 판정여부를 해당 평가 보고서에서 배제한다는 의미다. R/O가 명시된 해당 진단명은 자신에게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려면 해당 검사를 따로 검사해야한다.)하지만 글쓴이는 자폐증이란 개념을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해당 진단명을 ADHD와 관련된 진단명으로 착각했었다.
그림3 2022년 12월 한양대학교병원 행동발달증진센터, 「자폐증 진단 관찰 스케줄 모듈 4 보고서(ADOS-2)」 "의사소통 1점 (자폐스펙트럼 2, 자폐증 3), 사회적 상호작용 9점 (자폐스펙트럼 4, 자폐증 6), 의사소통+사회적 상호작용 총합 10점(자폐스펙트럼 7, 자폐증 10)": 글쓴이는 2021년 11월 한양대학교에 검사 받은 뒤에도 한참 뒤에야 자폐증, 자폐 스펙트럼 장애란 개념을 겨우 인지하게 됐고, 한양대학교에서 ADOS-2 검사를 받았다. 검사결과에 따르면 의사소통을 제외하면 "자폐 스펙트럼"보다 높은 "자폐증"에 해당되는 점수를 받아 자폐증이 있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 판정받았다.
그림4 2023년 8월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한국판 아동기 자폐 평정 척도2 표준형 평가지 결과」(K-CARS) "총 34.5점으로 경도-중등도 수준의 자폐 범주에 해당": 글쓴이는 다른 병원에서 검증을 받기 위해 검사를 의뢰했지만 어느 상급종합병원의 정신건강의학과도 처음온 환자가 「자폐증 진단 관찰 스케줄 모듈 4 보고서(ADOS-2)」를 신청하려면 빨라도 몇년을 기다려야 한다. 심지어 발달장애를 검사하는 진단의가 없으면 상급종합병원에서도 자폐증 여부를 검사할 수가 없다. 서울대병원(분당)에선 이미 예약이 몇년수준으로 꽉 찬 상태라 「자폐증 진단 관찰 스케줄 모듈 4 보고서(ADOS-2)」 검사가 불가능한 수준이었다. 그대신 서울대병원(혜화)에서 「한국판 아동기 자폐 평정 척도2 표준형 평가지 결과」(K-CARS) 검사를 받았다.
그림5 2023년 8월 서울아산병원 정신과 심리검사실 「지능평가」「전산화 주의력 검사」K-CARS2-HF」"임상소견 Autism Spectrum Disorder" "사회 성숙도(SQ) = 77" "사회연령 13세", "K-CARS2-HF, 총점: 27, 분류: 경도에서 중등도 수준의 자폐 관련 행동": 서울아산병원에서도 처음 온 환자는 「자폐증 진단 관찰 스케줄 모듈 4 보고서(ADOS-2)」 검사를 받으려면 수년을 기다려야 했기에 다른 검사를 받았다.
댓글
댓글 쓰기